본문 바로가기
꼭 알아두면 좋은 정보

쯔쯔가무시 증상 vs 진드기 물림: 증상, 상처 비교 및 차이점 과 전염성

by 37초전 2025. 1. 8.

쯔쯔가무시 증상
진드기와쯔쯔가무시 비교

 

 

가을철 야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할 질병 중 하나인 쯔쯔가무시증은 진드기에 물려 발생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진드기 물림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질환은 원인균과 증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오늘은 쯔쯔가무시증과 일반 진드기 물림의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하고, 가가 질환의 증상과 상처 형태를 비교해 보고 혹시라도 쯔쯔가무시증과 비슷한 상처와 증상이 보인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예방법은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진드기 기피제

쯔쯔가무시 vs 진드기 물림

1. 원인 및 매개체

 

● 쯔쯔가무시증: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합니다

● 일반 진드기 물림: 다양한 종류의 진드기에 의해 발생하며,

                                라임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등 다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핵심 차이점은 쯔쯔가무시증은 특정 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2. 증상 비교

증상 쯔쯔가무시증 일반 진드기 물림
잠복기 1~3주  진드기 종류에 따라 다름
초기증상 고열(40도 가까이), 두토으 결막 충혈, 오한, 발열  
특정적인증상 가피(검은딱지), 발진,기침, 구토, 근육통, 복통, 인후염 둥반 가능,물린부위에 무통성 구진 발생 후 수포 궤양 진행, 검은색 가피 형성 발진,가려움증, 물린 부위의 부어오름,
SFTS의 경우 고열, 소화기 증상(메스꺼움,복통), 혈소판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음,
라임병의경우 특정적인 과녘 모양의 발진이 나타날 수 있
심각한경우 다발성 장기 부전,신경학적증상, 혼수 다발성 장기 부전, 신경학적 증상,
혼수(SFTS의 경우)

 

3. 상처 형태 비교

 

● 쯔쯔가무시증: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5~20㎜ 크기의 검은색 가피(딱지)가 형성됩니다. 가피 주변은 붉은색 홍반으로 둘러싸일 수 있습니다. 가피는 배꼽, 귓바퀴 뒤, 항문주위, 겨드랑이, 머릿속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 일반 진드기 물림: 물린 부위가 붉게 부어오르고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SFTS를 유발하는 작은 소피참진드기의 경우 물린 자국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라임병의 경우 특징적인 과녁 모양의 발진이 나타납니다.

 

4. 예방 및 치료

 

● 쯔쯔가무시증: 야외 활동 시 긴 옷 착용, 진드기 기피제 사용, 귀가 후 샤워 및 옷 세탁 등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감염 초기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므로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 일반 진드기 물림: 야외 활동 시 긴 옷 착용, 진드기 기피제 사용, 풀밭에 직접 눕지 않기 등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진드기에 물린 경우 무리하게 제거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진드기진드기
진드기

쯔쯔가무시증 전염성

쯔쯔가무시의 전염성은 결론적으로 사람간에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즉, 쯔쯔가무시증 환자와 접촉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감염되는 일은 없습니다.

 

쯔쯔가무시증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리지 않는 이상, 쯔쯔가무시증에 걸릴 일은 없습니다. 마치 모기에 물려 말라리아에 걸리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모기에 물리지 않으면 말라리아에 걸리지 않는 것처럼, 털진드기 유충에 물리지 않으면 쯔쯔가무시증에 걸리지 않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쯔쯔가무시증은 사람 간 전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자를 격리할 필요도, 특별히 소독을 할 필요도 없습니다.

하지만 쯔쯔가무시증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심 증상(고열, 두통, 오한, 발진, 가피 등)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하자면:

● 쯔쯔가무시증은 사람 간 전염이 되지 않습니다.

●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야 감염됩니다.

● 환자의 격리나 소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진드기 기피제 비교 및 구매 바로가기 

 

결론

쯔쯔가무시증과 일반 진드기 물림은 모두 진드기에 의해 발생하지만, 원인균과 증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쯔쯔가무시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가피 형성을 주의깊게 관찰하고, 야외 활동 후 의심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진드기진드기진드기
진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