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꼭 알아두면 좋은 정보

국민건강보험 EDI 보수총액 신고 가이드 최신 개정사항 반영

by 37초전 2025. 7. 9.

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 보수총액

📌 "2025년부터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가 폐지된다고요?"
맞습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는 국세청 간이지급명세서로 대체되어 별도 신고가 필요 없어졌습니다.
하지만 2024년 귀속분까지는 기존 EDI 신고를 반드시 해야 하며, 고용·산재보험은 여전히 별도 신고가 필요합니다.

 

📌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전년도 총 급여(보수)와 근무월수를 신고하는 절차로, 건강보험료 산정을 위해 필수적이었습니다.

 

  • 대상: 직장가입자(사업장)
  • 신고 기간: 매년 1월 1일 ~ 1월 31일 (2024년 귀속분은 2025년 1월 31일까지)
  • 2025년부터: 국세청 간이지급명세서 제출로 대체 → 별도 신고 불필요

 

국민건강보험공단 보수총액신고하기

 

📢 2025년 변경된 주요 내용 (폐지 배경)

 

2024년 8월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개정으로 2025년 1월 1일부터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가 폐지되었습니다.
국세청 간이지급명세서 데이터로 자동 정산되며, 기업과 세무사의 중복 신고 부담이 줄어듭니다.
✅ 다만, 고용보험 & 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는 별도로 진행해야 합니다.

 

 

📋 건강보험 EDI 보수총액신고 방법 (2024년 귀속분까지)

1. EDI 시스템 접속 및 신고

 

  • 건강보험공단 EDI 사이트 (https://edi.nhis.or.kr) 로그인
  • "직장가입자 보수총액통보서" 메뉴 선택
  • 전년도(2024년) 보수총액 + 근무월수 입력
  • 임시저장 후 최종 제출

 

 

2. 대규모 사업장은 엑셀 일괄 업로드 가능

- 많은 직원이 있는 경우 엑셀 양식을 다운로드해 일괄 입력 후 업로드 가능

3. 제출 후 확인

- 신고 완료 후 접수증 출력 또는 PDF 저장 (과태료 방지를 위해 보관 필수)

 

🚨 주의사항 & 과태료

 

2024년 귀속분 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 (최대 500만 원)
고용보험 & 산재보험은 별도 신고 필요 (건강보험과 달리 유지됨)
2025년부터는 건강보험 신고 불필요, 대신 국세청 간이지급명세서 제출 필수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2025년부터 정말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를 안 해도 되나요?
네, 2025년 1월 1일부터는 국세청 간이지급명세서로 대체되어 건강보험 별도 신고가 필요 없습니다.
 
Q2. 고용보험·산재보험도 신고가 필요 없나요?
아닙니다!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여전히 별도로 신고해야 합니다.
 
Q3. 2024년 귀속분은 언제까지 신고해야 하나요?
📅 2025년 1월 31일까지 EDI 시스템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Q4. EDI 신고 후 확인 방법은?
신고 완료 시 접수증 발급 가능,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도 조회 가능합니다.
 
Q5. 과태료는 얼마나 부과되나요?
미신고 시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꼭 기한 내 신고하세요.

 

 

🔎 추가 문의처

 

 

  • 건강보험공단: ☎ 1577-1000
  • EDI 기술 지원: ☎ 1600-0180
  • 국세청 간이지급명세서 문의: ☎ 126

 

 

 

✍️ 마무리

2025년부터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가 폐지되어 업무 부담이 줄었지만, 2024년 귀속분은 반드시 EDI로 신고해야 합니다.
또한 고용·산재보험은 계속 신고가 필요하니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이 블로그가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 #EDI신고 #2025년변경사항 #국민건강보험공단

 

SEO 최적화 키워드:
건강보험 EDI 보수총액신고, 건강보험 보수총액신고 방법, 2025년 건강보험 신고 폐지, 고용보험 보수총액신고, 건강보험공단 EDI, 국세청 간이지급명세서, 건강보험료 정산, 보수총액통보서, 건강보험 미신고 과태료

© 2025 건강보험 정보 블로그. All rights reserved.